본문 바로가기

공무원 한국사 자료실

한국사 정리 DAY01 (선사시대, 삼국시대, 통일신라, 발해)

한국사 정리 DAY01.hwpx
0.02MB

space.malangmalang.com/

 

한컴스페이스

어디서나 펼쳐지는
오피스 세상

space.malangmalang.com

다운 받으신 파일을 위 링크에 들어가셔서 업로드 하시면 편집 및 인쇄 가능합니다.

(이상한 사이트 아니고 한컴에서 지원하는 공식 사이트 입니다.)

 

간단한 회원가입만 하면 집에 한글 프로그램이 없더라도 편하게 사용 가능합니다.

 

조금이나마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선사 시대

 

◎ 구석기(70만년전~1만년전)

◈ 불 사용 / 주먹도끼 / 슴베찌르개

 

◎ 신석기

농경시작(조, 피, 수수) / 원시신앙 / 빗살무늬 토기(후기) / 움집(원형) / 족외혼 / 평등사회 / 원시적 수공업(가락바퀴, 뼈바늘)

 

◎ 청동기

벼농사 시작(부여 송국리, 여주 흔암히, 평양 남경 유적, 부안 소산리, 나주 다시면, 김해 패총)

밭농사 중심(보리, 콩)

반달 돌칼 / 비파형 동검(요령식 동검) / 거친무늬 거울

토기 - 덧띠새김무늬 토기 / 민무늬 토기 / 미송리식 토기 / 부여 송국리식 토기 / 붉은 간 토기

◈ 움집(직사각형) / 배산임수

◈ 계급발생(사유 재산 발생) - 고인돌(강화 화순 고창) / 선민사상

부계 중심 사회

 

◎ 철기 : 세형 동검 / 잔무늬 거울 / 거푸집 > 독자적 청동기 문화

토기 - 민무늬 토기 / 덧띠 토기 / 검은 간 토기

◈ 주거 - 부뚜막(온돌 사용) 등장, 귀틀집

중국과 교역 활발 - 명도전(연,제,조), 반량전(진), 오수전(한)

출토(경남 창원 다호리) : 한자 사용 증거

고조선(BC 2333 - BC 108) - 단군왕검(제정일치)

 

◈ 초기 요령지역 > 대동강 유역

◈ 세력 범위 - 비파형 동검, 거친무늬 거울, 북방식 고인돌, 미송리식 토기

◈ 단군 최초 기록 - 삼국유사(충렬왕 일연)

◈ 발전

BC 4~3C : 왕호 사용, 요서를 경계로 연나라와 대립할 정도로 강성 / 왕위 부자 세습

       (BC300년경 연나라 '진개' 침략 > 대동강 유역으로 이동)

BC 2C 위만 조선 : 중앙 정치 조직 / 철기 본격 수용 > 중계 무역(한,예,진)의 이득 > 한의 반발

BC 108 : 한 무제 침략으로 멸망 > 한 군현 설치 > 8조법에서 60여 조로 강화

(8조법 - 살인죄:사형 / 상해죄:곡식으로 배상 / 절도죄:노비 or 50만 전 배상)

 

부여(영고)

∨ 만주 송화강 유역 / 말, 주옥, 모피 / 흰색 옷, 가죽 신

∨ 장례 도구 '옥감' 사용 (여름에 얼음 사용)

마가, 우가, 저가, 구가

∨ 1세기 초 왕호 사용 / 일시적 부자 상속(3C)

∨ 순장 / 바람피면 여자 사형(일부다처제) / 우제점법(복)

∨ 3C 선비족 침입으로 약화 > 광개토대왕 때 동부여 멸망 > 5C 문자왕 때 멸망

후장 풍습 / 1책 12법 / 형사취수제(재산 보호 목적)

 

고구려(동맹)

∨ 압록강(졸본>국내성) / 약탈 경제(부경) / 특산물 : 맥궁

∨ 5부족 연맹 왕국 / 고추가, 상가, 대로, 패자 / 서옥제(모계 사회)

∨ 극동대혈 제사(주몽, 유화부인) / 감옥 없음

∨ 무덤에 금, 은, 재화 묻음 / 돌무지 무덤

후장 풍습 / 1책 12법 / 형사취수제(재산 보호 목적)

 

옥저 

∨ 해산물/ 매년 소금, 어물 고구려에 바침

군장 국가(후, 삼로, 읍군) / 민며느리제(매매혼)

∨ 골장제(세골장), 가족 공동묘

동예(무천)

∨ 해산물 풍부 / 평야 지대 / 단궁, 과하마, 반어피

책화(씨족 사회) / 족외혼 / 사람이 죽으면 새집을 지어 삶

군장 국가(후, 삼로, 읍군)

 

삼한(수릿날, 계절제)

∨ 저수지 > 벼농사 / 두레(씨족사회) / 양잠 → 비단옷

변한 : > 낙랑, 일에 수출

연맹 왕국 / 족장 대[신지, 견지] 소[읍차, 부례]

제정 분리 - 천군(제사장) / 소도(신성지역)

∨ 반움집, 귀틀집

∨ 마한 : 독무덤, 주구묘, 토실

∨ 장례 풍습 : 새의 깃털을 함께 매장

∨ 변한, 진한 : 편두

 

tip : 부엉이와 고동이는 동무다 > 부여 영고, 고구려 동맹, 동예 무천

 

고구려

∨ 1책 12법 / 형사취수제 / 서옥제

∨ 관등 관제 : 10여 관등(~형, ~사자)

∨ 귀족 합의제 : 제가 회의

∨ 지방 행정 : 수도, 지방 > 5부, 5부(욕살) / 특수 : 3경

∨ 군사 : 대모달, 말객 / 청년 전사 단체 : 선비

 

[주몽 - 2C 태조왕 - 3C 고국천왕 - 4C 동천왕 - 미천왕 - 고국원왕 - 소수림왕 - 5C 광개토 대왕 - 장수왕 - 문자왕 - 6C 안원왕 - 양원왕 - 평원왕 - 7C 영양왕 - 영류왕 - 보장왕]

 

2C 태조왕 : 고씨 왕위 독점 / 5부 체제 성립 / 옥저 복속 / 왕위 형제 상속

2C 고국천왕 : 행정적 5부 / 진대법(을파소) / 왕위 부자 상속

 

3C 동천왕 : 중)위나라 관구검 침입 > 국내성 함락 > 오나라와 수교

 

4C 미천왕(을불, 소금장수) : 낙랑군, 대방군 축출

4C 고국왕 : 중)전연의 침입 > 수도 함락, 미천왕릉 도굴 / 백)근초고왕 침입 > 전사

4C 수림왕 : 중) 전진과 수교, 불교 공인(372) / 태학 설립 / 율령 반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[소림사 불태워]

 

5C 광개토대왕(영락) : 동부여 / 후연 격파 / 한강 이북 진출 / 신라 지원(왜 격파) > 전기 가야 연맹 해체 / 숙신, 거란 정벌 > 만주 차지

 

5C 장수왕 : 북) 지두우 분할 점령 / 남) 평양 천도 > 한강 차지 > 백) 개로왕 사망(아차산성)

남쪽 경계 : 죽령~남양만

5C 문자왕 : 부여 복속 > 영토 최대

 

6C 안원왕 :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(북조 양식)

6C 양원왕 : 신라에 한강 유역 빼앗김(신라 진흥왕)

6C 평원왕 : 부마 온달이 영양왕 때 죽령 수복 위해 출전 > 전사(590, 영양왕, 아차산성)

 

7C 영양왕 : 중)수 양제 침입 > 살수대첩(612, 을지문덕, 청천강) / 이문진(신집) 5권 (600) / 담징, 혜자 - 일에 고구려 문화 전파

7C 영류왕 : 연개소문(불교 배척, 도교 장려) - 천리장성 축조(부여성~비사성)

7C 보장왕 : 중)태종 침입 > 안시성 전투(645 양만춘), 연개소문 사망 후 아들 내분 > 멸망(668)

 

백제

∨ 도둑질 : 귀양+2배 / 뇌물, 공급 횡령 : 금고형+3배

∨ 관등 관제 : 16관등, 6좌평 (성왕22부 추가)

∨ 귀족 합의제 : 정사암 회의 ∨ 청년 전사 단체 : 수사

∨ 지방 행정 : 수도, 지방 - 5부, 5방(방령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특수 - 22담로(무령왕) - 왕족파견

 

[3C 고이왕 - 4C 근초고왕 - 침류왕 - 5C 비유왕 - 개로왕 - 문주왕 - 동성왕 - 6C 무령왕 - 성왕 - 7C 무왕 - 의자왕]

 

3C 고이왕 : 6좌평, 16관등제 / 율령 반포 / 관복(자,비,청) 정비 / 왕위 형제 상속 / 한강 유역 완전 장악

 

4C 근초고왕 : 가야지역 지배권 행사 / 중)요서, 산둥 일) 규슈 진출 / 마한 합병 / 고구려와 대결[고)고국원왕 사망] / 왕위 부자 상속

      [아직기, 왕인 > 일에 백제 문화 전파 / 중)동진과 수교 일)칠지도 하사]

 

4C 침류왕 : 중)동진으로부터 불교 공식적 수용(384)

 

5C 비유왕 : 나제 동맹 체결(433) 신)눌지왕

5C 개로왕 : 괴롭게 아차 하면서 아차산성에서 사망 고)장수왕

5C 동성왕 : 신라와 결혼 동맹(493) 신)소지왕 / 탐라국 복속

 

6C 무령왕 : 중)양나라 수교(벽돌무덤), 22담로 왕족 파견

6C 성왕 : 사비(부여) 천도(538) > 남부여 / 22부, 5부 5방 체제 정비 / 일)불교 전파(552, 노리사치계)

∨ 신라와 함께 한강 하류 회복(551) > 신라 배신 > 나제 동맹 결렬(553) > 대가야+왜 연합 신라 공격 > 관산성(옥천) 전투에서 사망(554)

 

7C 무왕 : 미륵사 건립

7C 의자왕 : 신라 40여성 차지 / 고구려와 연합

             백제 멸망(660) 신)무열왕

 

신라

∨ 관등 관제 : 17관등(법흥왕 때 중앙 17관등, 지방 11관등으로 이원화)

∨ 귀족 합의제 : 화백 회의 - 왕권 견제

∨ 지방 행정 : 수도, 지방 > 6부, 5주(군주) / 특수 : 2소경

∨ 군사 : 서당(중앙), 6정(지방) / 청년 전사 단체 : 화랑도

∨ 골품제 - 6두품 승진 한계

 

[4C 내물 마립간 - 5C 눌지 마립간 - 소지 마립간 - 6C 지증왕 - 법흥 - 진흥 - 7C 진평왕 - 선덕여왕 - 진덕여왕 - 무열 - 문무왕]

 

4C 내물 마립간 : 김씨 왕위 세습 / 왕위 형제 상속 / 고구려에 군사적 의존(호우명 그릇)

 

5C 눌지 마립간 : 나제 동맹(433) 백)비유왕 / 왕위 부자 상속

5C 소지 마립간 : 우역 설치 / 시장 개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백제와 결혼 동맹 백)동성왕 / 66부

 

6C 증왕 : 신라, 왕 사용 / 우산국 합병 / 우경 실시 / 동시(전) 설치 / 최초의 지방관(군주) 파견 / 순장 금지

6C 흥왕 : 율령 반포 / 병부 설치 / 상대등 설치 / 골품제 정비 / 불교 공인(이차돈 527) / 17관등 / 공복(자,비,청,황) 제정 / 금관가야 합병

6C 진흥왕 : 한강 차지 나제 동맹 결렬(533) / 직교역 당항성

비석 - 단양 적성비(551) : 토착민 포상 내용, 순수비 아님

  순수비 : 북한산비(555) 한강 유역 장악

          창녕비(561) 비화가야 합병 > 대가야 멸망(562)

          황초령비, 마운령비(568) > 함경도 진출

 

7C 진평왕(건복) : 원광(세속오계), 걸사표 수나라에 바침(611) > 612년 살수대첩

7C 선덕여왕(인평) : 첨성대 / 황룡사 9층 목탑 / 분황사 모전 석탑 / 영묘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비담, 염종의 난

7C 진덕여왕 : 나당 연합군 결성, 당에 태평송 바침 > 중국식 의관, 연호 사용

 

가야 연맹

구성 : 금관가야(김해) / 가야(고령) / 성산가야(성주) / 고령가야(진주or상주) / 아라가야(함안) / 가야(고성)

 

3C 전기 가야 연맹

- 금관가야 [김수로(뇌질청예) - 구지가]

∨ 경제 : 변한 철 생산, 벼농사 발달

∨ 중계 무역(낙랑 - 왜)

∨ 해체 5C초 광개토대왕 공격

 

5C 후기 가야 연맹

- 가야 [이진아시왕(뇌질주일)]

∨ 신라와 결혼 동맹(522) 신)법흥왕

금관가야 신)법흥왕(항복함)

관산성 전투 패배(554)

∨ 대가야 멸망 신)진흥왕(이사부)

 

∨ 유적지 - 김해 대성동 / 부산 복천동 / 고령 지산동 / 함안 말이산 고분군

 

신라 통일 과정

 

648 진덕여왕 - 나당 연합 결성

660 무열왕 - 백제 멸망(의자왕+계백 황산벌 vs 김유신)

>660~663 백)부흥 운동

[복신, 도침(주류성) / 흑치상지, 지수신(임존성)] + 왕자 부여 + 지원 : 백강 전투

668 문무왕 - 고구려 멸망(보장왕)

670 나당 전쟁 시작

>670~673 신라 지원 > 고)부흥운동 [고연무(오골성), 검모잠(한성)] + 왕자 안승(금마저)

 

-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

웅진 도독부(공주 660) 설치 : 부여융 도독 임명(664)

계림 도독부(경주 663) : 문무왕 도독 임명

    → 공주 취리산 회맹(665) - 부여융+문무왕(굴욕)

안동 도호부(평양 668)

 

전쟁 전개

 

670 웅진 도둑부 전투 - 신라 승

671 석성 전투 - 신라 승

672 웅진 도둑부 요동 이동 (실질적 폐쇄)

674 당) 문무왕 동생 김인문 신라왕으로 봉함

675 매소성 전투(육군) - 당)이근행 20만 대군 격파 → 신라 주도권 장악 → 안동 도호부 요동으로 이동

676. 11. 기벌포 전투 → 당)설인귀 해군 격파

676 나당 전쟁 신라 승 → 삼국통일[대동강~원산만 성덕왕(735)]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[통일 초기 임진강~덕원(원산)]

 

통일 신라

 

[무열왕 - 문무왕 - 신문왕 - 효소왕 - 성덕왕 - 효성왕 - 경덕왕 - 혜공왕 - ...... - 경순왕]

 

무열왕 : 갈문왕 제도 폐지(전제 왕권 강화)

문무왕 : 고구려 멸망

신문왕 : 김흠돌 모반 사건 → 진골 숙청

         9주 5소경(지방) / 9서당 10정(군사) / 국학 설립

         관료전 지급[수조권(세금 징수권)만 지급]]

         녹읍 폐지(녹읍 : 귀족에게 수조권, 노동력 징발권 부여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> 귀족 경제 기반 약화

성덕왕 : 백성에게 정전 지급

경덕왕 : 불국사 건립 / 녹읍 부활

 

→ 집사부(시중) ▲ 화백회의(상대등)▼ / 6두품 역할 증대

 

민정 문서[신라, 촌락 문서]

∨ 촌주가 매년 변동 사항 조사, 3년 마다 작성

서원경(청주) 주변 4개 촌락 대상

∨ 토지 크기, 인구, 의 수, 토산물, 노비수, ,,호두나무 수 기록

∨ 사람은 남녀별, 연령별 6등급, 호는 인정의 많고 적음에 따라 9등급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토지 결수 기준x)

∨ 종류

연수유답 : 개인 사유지 민정문서의 96% 차지

내시령답 : 관료전에 해당

촌주위답 : 촌주 토지 조세 면제

관모답 : 관청 운영 경비 목적 토지

마전 : 주민 공동 마를 경작하던 토지

 

신라의 반란사

 

∨ 선덕여왕 (진덕여왕 때 진압) - 비담, 염종의 난

∨ 신문왕 - 김흠돌 모반 사건

∨ 혜공왕 - 김지정의 난

∨ 헌덕왕 - 김헌창의 난 / 김범문의 난

∨ 문성왕 - 장보고의 난

∨ 진성여왕 - 기원, 양길 / 원종, 애노 / 견훤 / 적조적의 난

 

발해 [건대인천]

 

[고왕(대조영, 천통) - 무왕(대무예, 인안) - 문왕(대흠무, 대흥) - 성왕 - 선왕(대인수, 건흥) - 애왕(대인선)]

 

고왕(대조영, 통) : 동모산

 

무왕(대무예, 안) : 당과 대결장문휴 수군 산둥 등주 공격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당의 요청으로 신라(성덕왕) 출병 > 실패 but 당이 신라 지배원 인정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돌궐, 일본 등과 연결 > 신라와 당 견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동북아시아 세력 균형 유지

 

문왕(대흠무, 흥) : 당과 친선 / 신라도 개설 / 천손 자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3성 6부제(중앙) / 주자감 설치 / 황제 국가 표방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중경 > 상경 > 동경 천도

 

성왕 : 동경 > 상경 천도

 

선왕(대인수, 흥) : 해동성국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말갈족 복속 / 신라와 국경을 접함 / 요동 진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5경 15부 62주(지방)

 

애왕 : 거란 야율아보기의 침입으로 상경의 홀한성 함락 → 멸망(926)

 

→ 정안국(936~986) > 거란에 의해 멸망

 

∨ 발해사 연구 최초 이승휴 [제왕운기]

 

통치 체제

 

통일 신라

∨ 중앙 : 집사부 시중(중시) 지위▲ / 14부(13부) 설치

          사정부 설치(무열왕, 감찰 기능) / 국학 설립(신문왕)

∨ 지방 : 9주 5소경(신문왕) 9주(도독), 5소경(사신)

          상수리 제도(볼모로 잡는 제도)

          특수 행정 구역 : 향, 부곡

∨ 군사 : 9서당(중앙군) 10정(지방군)

 

발해

∨ 중앙 : 3성 6부(당 모방 but 독자적 운영)

∨ 지방 : 5경 15부 62주(선왕)

∨ 군사 : 10위(중앙군)

 

 

고대 문화

 

교육

∨ 고구려 - 태학(소수림왕, 중앙) / 경당 (지방)

∨ 백제 - 사택지적비(의자왕)

∨ 신라 - 임신서기석(진흥왕)

          위도의 국서(내물왕전진의 왕 특산물 보냄, 중국과 교역한 최초의 기록)

∨ 통일신라 - 국학(신문왕) > 태학, 대학감(경덕왕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독서삼품과(원성왕)

∨ 발해 - 주자감(문왕)

 

역사 편찬

∨ 고(이문진 신집 5권) ∨ 백(고흥 서기) ∨ 신(거칠부 국사)

 

유학 

김대문 : 진골, [랑세기/승전/산기/림잡전]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신라 문화 주체적 인식하려는 경향 [한화 개고(생)]

 

최치원 : 6두품, [원필경/왕연대력/인사묘길상탑기/4산비문/랑비문/황소격문/륙집] [난 제사(라면) 개토해]

 

강수 : 외교 문서 작성 문장가 (청방인문서/답설인귀서) 불교 비판

설총 : 신문왕에게 [화왕계]를 바침 / 한문 교육 보급에 공헌

 

불교 사상 발달

 

∨ 원효(6두품, 유학x, 법성종, 분황사, 아들 설총)

   - 나무 아미타불 / 일심사상(화쟁사상)

   - [십문화쟁론/금강삼매경론/대승기신론소/화엄경소] (론론소소)

 

∨ 의상(진골, 화엄종, 부석사)

   - 화엄사상(서로 조화) / 관음 신앙 / [화엄일승법계도]

 

→ 원효, 의상 둘다 교종 승려, 불교 대중화, (나무 아미타불 관음세보살)

 

김교각 - 지장보살

혜초 - [왕오천축국전]

 

고분과 고분 벽화

 

∨ 고구려

   초기 - 돌무지무덤(벽화Ⅹ)

   후기 - 굴식 돌방무덤(도굴 쉬움 / 시신 추가 매장 가능 / 모줄임천장 구조 / 벽화○)

 

∨ 백제

   웅진시대 - 벽돌무덤(남조 영향)

송산리 고분군 - 6호분 : 벽화○ / 7호분(무령왕릉)[왕, 왕비 합장릉, 벽화, 터녈형 천장 구조, 다양한 무늬의 벽돌, 금제 관식, 석수(돌 짐승) 및 오수전 출토, 무덤 내 지석(토지신으로 묘지터 매입 기록, 영동대장군 백제사마왕)]

 

∨ 신라

   통일 전 - 돌무지덧널무덤(only 신라, 도굴 어려움, 벽화, 규모 큼)

   통일 후 - 불교식 화장 유행(문무왕릉)

             규모가 작은 굴식 돌방무덤(12지 신상 조각)

 

∨ 발해

   문왕 - 정혜공무 묘(굴식 돌방무덤, 모줄임 천장구조, 벽화, 돌사자상)

          정효공주 묘(벽돌무덤, 평행고임 천장구조, 벽화○, 벽돌 탑)

          공통점 : 4.6변려체, 지석 발견